본문 바로가기

정보

스타크래프트로 배우는 원가회계


학교 게시판에 어떤분이 직접 작성해주신 글
비전공자라도 쉽게 잘 이해된다
-------------------------------------------------------------------------------------------

옛날에 심심해서 적어본 스타크래프트로 배우는 원가회계ㅋㅋㅋ

 

그냥 원가회계 기본 개념 잡기에는 좋을꺼에요...   스크랩해두셨다가

 

나중에 수업좀 들으시고... 이 글을 다시 보시면..ㅎㅎㅎㅎ 은근 이해가 잘되리라 믿어요 ㅎㅎ

 

스타 brood war 기준으로 작성했던 거라서...ㅎ 

 

원가관리회계 들으시는분들, 공부하시는 분들 개념만 참조하세요 ㅋㅋ

 

 

 


원가는 크게 3종류로 나눌 수 있어요


직접재료비 (DM)

직접노무비 (DL)

제조간접비 (OH)

 

질럿 생산을 예를 들어 말씀드릴께요 ㅎㅎ

 

 

 

 

질럿을 생산하는데  무엇보다 미네랄 100이 필요하죠???  그걸 재료로 질럿을 생산하잖아요...

그 미네랄 100이  직접재료비 입니다.

 

 

 


하지만, 질럿을 생산하기 위해서는 우선 파일런을 지어야 할 것이고.... 게이트웨이도 지어야겠죠??

질럿 한마리를 생산하더라도 파일런 하나 게이트웨이 하나 이상이 필요하구요....

질럿 100마리를 생산하더라도 파일런 하나 게이트웨이 하나 이상이 필요하겠죠...??ㅎㅎ

이렇게 미네랄 100처럼 질럿 생산에 직접적으로 필요하지는 않지만,

질럿 생산을 위해서 필요한 기반시설들은.... 제조하는데 간접적으로 필요한 비용이다...라고 해서

제조간접비 라고 불러요 ㅎㅎ

 

 

 


그리고, 질럿을 만들기 위해서, 게이트웨이 안에서 일하는 프로브가 있다면 직접노무비로 들어가겠지만...

아쉽게도... 자동화시스템때문에 직접노무비는 없네요...ㅎㅎㅎ

다만,

꾸준하게 미네랄을 캐기 위해서 프로브를 생산하겠죠...??  그렇게 질럿만을 위해서 일하는 것은 아니지만,

공장 전체를 위해서 일하는 프로브들의 생산원가는... 간접적인 노무비로 분류되어서  제조간접비에 포함이되요..ㅎㅎ

 

 

 

 

 

위에   직접재료비,  직접노무비,  제조간접비에 대한 개념을 잡으셨으면...

각설하고 질럿 1마리의 원가계산을 해볼께요 ㅎㅎㅎㅎ

 

 

 

 


질럿을 만들기 위해서...

파일런(미네랄100)   게이트웨이(미네랄150)     프로브 10마리 (미네랄500)이 있다고 해볼께요

 

 

 

 

 

 

경우1> 질럿 1마리를 만드는 경우


직접재료비 : 미네랄 100
직접노무비 :    -
제조간접비 : 파일런(100), 게이트웨이(150), 프로브(500)

합계       : 850

1마리 만들기 위해서 들어가는 비용 : 850원

 

 

 

 

 

 

경우2> 질럿 10마리를 만드는 경우

직접재료비 : 미네랄 100
직접노무비 :    -
제조간접비 : 파일런(100), 게이트웨이(150), 프로브(500)

합계       : 850

1마리 만들기 위해서 들어가는 비용 : 미네랄100 + 파일런비용(10원) + 게이트웨이비용(15원) + 프로브비용(50원)
                                  : 175원

 

 

 

 


두가지 경우의 차이를 느끼셨나요..???

직접재료비는  질럿 1마리를 만들던 10마리를 만들던    100원씩 들어가지만

제조간접비는  질럿을 많이 만들 수록 1/n  되어서 1마리에 배분되는 비용이 점점 작아지게 되죠 ㅋㅋ

 


만약 질럿 100마리를 만든다면

1마리 비용은    미네랄 100,  파일런(1원), 게이트웨이(1.5원), 프로브(5원) 
               그래서 107.5원이 되겠죠...


그래서 게임에서 병력을 쉬지 말고 찍어야.. 생산원가가 낮아지게 되는거에요 ㅋㅋㅋㅋㅋ 

 

 

 

 

 

 

 

 

좀 더 복잡한 논의로 들어가면....

 

사실 100마리 질럿을 만들려면...

게이트웨이는 1개여도 상관 없지만  파일런을 늘려야겠죠???

이 때...

게이트웨이는  질럿 1마리를 만들던 100마리를 만들던   상관 없으니까... 관련없는 원가, 즉 '비관련원가' 라고 불러요
파일런은      경우에 따라 차이가 나기 때문에... 관련 있는 원가, 즉 '관련원가'라고 불러요 ㅎㅎ

그래서 파일런을 더 짓고 생산속도에 따라 게이트웨이를 더 지을지 말지 결정하는것은.....
비관련원가는 고려할 필요 없고,

관련원가만 생각해서 비용대비 효율을 계산하는 거에요..ㅎㅎ

 

 

 

 

 

 

좀 더 복잡한 논의로 들어가면.....

 

질럿이 아니라 드라군, 하이템플러 등등을 뽑게 되면..

게이트웨이 비용은 1/n으로 점점 나뉘어 져서  유닛별로 배분되어야 겠죠???

이 때.......

게이트웨이 비용을  생산하는 유닛 수에 따라 배분했는데.... 이것을 '조업도에 따른 배분'이라고 말을 해요 ㅎㅎ

 

이렇게 공통으로 사용되는 비용은...   합리적인 "기준 (원가동인)"에 따라  배분하게 되는거에요 ㅎㅎ

 

이 때.. 게이트웨이는  질럿 드라군 하이템플러에게 각각 배분하겠지만....


템플러사원 비용은...  당연히 하이템플러에게만 배분되겠죠..???ㅎㅎ  

 

 

 

 

 

 

좀 더 더 복잡한 논의로 들어가면

 

프로브의 생산원가는....

질럿 드라군 하템 다템  뽑게 될 수록...   가스, 미네랄 생산에 대한 기여정도와 그 관련범위를 고려하여

배분되게 되구요...

프로브를 생산하기 위해서 들어간 파일런 비용은...  제조부문을 위한 보조부문의 개념이 되어...

프로브 생산원가에 포함 시키고, 다시 그 비용을 유닛들에게 배분해야겠죠...

 

유닛들의 원가를 계산하는 관점에 따라 전부,변동,초변동 원가계산으로 나눌 수 있구요

또한 결합원가계산방식이라던지 종합원가계산.. 표준원가계산   활동기준 원가 계산으로도 고려해 볼 수 있어요

 

예를들면 예상되는 게이트웨이와 파일런의 양을 고려하여  질럿원가를 미리 계산하고 (표준)

실제 건설한 것과 비교하여 그 차이만을 조정하는 방식...등이 있어요 ㅎㅎ

 

여기는 글로 설명하기에는 너무 복잡한 논의라서 나중에 시간날 때 좀 더 적어야겠네요 ㅎㅎㅎ

 

 

 

 

 


스타크래프트 하나로 원가회계 말고도....  마케팅 개념까지 확장해 볼 수도 있어요....ㅎㅎㅎ

 

 

 

 

Product 어떤 유닛을 생산할지...
Place   어디서 생산할지...
Price   가격은 어떻게 조정할지..
Promotion   음..이건!? ㅋㅋㅋㅋㅋㅋㅋ


그리고 상대방과 나와의 상대적 강약에 따라....

 

상대방(1등기업)이 너무 우세하다면...  나의 제품(유닛)을 가지고.. 게릴라 전을 펼쳐야겠죠?

드랍등을 활용해서.. 상대방의 주력제품(유닛)과의 충돌을 피해서 틈새(niche market)를 공략해야겠죠...

 

뭐 이런 등등의 마케팅 개념 뿐만 아니라 ,

 

 

유닛 생산들의 막힘없는 생산일정계획(MPS)라던지,   생산인구수의 막힘없이 원활한 생산을 위한 대일정계획 또는 라인밸런싱(LOB)등을 위한 운영관리 개념.....

 

어떤 유닛을 어느 적재적소에 투입할지...에 대한 간단한 인사관리 개념 

 

그리고 그 유닛들에게 얼만큼 투자할지,   여러 전략 가운데, 가장 비용대비 효율이 좋은 투자안은 무엇인지에 대한 판단개념... 등등

 

다양한 경영학 개념들을 스타크래프트 하면서 설명할 수 있어요 ㅋㅋㅋ

 

 

 

 

영업레버리지와 경제적 생산량 추가시켜보면요

 

 

일단, 스타에서는 돈을 차입할 수 없으니 재무레버리지는 없겠죠...

 

아! 레버리지 개념부터 말해보면....     지렛대 받침을 생각하면되요 ㅎㅎㅎ

 

공장 건물을 많이 지어놓으면... 생산 빨리빨리하고...   물량 많이 뽑아낼 수 있지만.....

 

 

멀티 몇개 파괴되면 ....   ㅈ 되죠???  ㅎㅎㅎㅎ   멀티가 파괴되면   뽑고 싶어도 돈이 없어지잖아요..

 

 

 

즉,    고정설비가 많을 수록...  호황기(멀티많을때)에는   유리해지지만

                                             불황기(멀티없을때)에는   불리해지는거에요....  이게 레버리지 효과라고 생각하시면 되요 ㅎㅎ

 

 

 

또한 경제적 생산량은... (EOQ)

 

재고 주문비와  재고 유지비를 어떻게 최소화 시킬것인가에 대한 논의인데

 

스타에서는 이 두가지 개념을 설명하기는 힘드네요 ㅠㅠ

그냥 원론적으로 설명해보면

 

재고 주문비와 재고 유지비를 더한 금액을   총 비용으로 간주하고....

 

미분하여 0으로 두면     최소값이 나오는데요...  그 값이  루트   2x연간주문량x주문비용 / 재고유지비   가 되요 ㅎㅎ

 

이건 뭐 몇몇 가정들도 필요하고 스타로 설명하기는 힘드네요 ㅠㅋㅋㅋ

 

 

 

 

 

 


앞으로 스타를 하면서

 

 

 

 

질럿 한마리의 원가를 정확히 계산하고, 전략을 짜서 게임을 해보는 묘미를 즐겨보시길 ㅋㅋㅋㅋㅋㅋ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PDF password remover  (0) 2011.12.21
PPT, 엑셀, 워드 따로 새창으로 열기  (1) 2011.12.20
11년시공능력평가액현황(11.7.29기준) - 대한건설기술연구원  (0) 2011.09.22
기본적인 통장 정보  (0) 2011.09.22
PPT template  (0) 2011.03.25